Page 33 - 민족화해 95호
P. 33

민족화해 2018 11+12                 31

                                이영재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지원사업팀에서 일
                                하고 있다. 북한의 ‘고난의 행군’ 시기 북녘 동포들을
                                도와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범국민운동차원에
                                서 시작했다. 법인체가 아니라 하나의 운동으로서 만
                                들어져 단체 이름도 여전히 ‘운동’으로 하고 있다. 설
                                립 당시 긴급구호 활동을 주로 했고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대북지원을 넘어 개발지원 등을 추진
                                했다. 농업, 보건의료, 축산, 산림분야 등에 대한 지원
                                이 중심이다.

    대담 이영재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부장        신상선 	 평화3000 대북사업팀에서 일하고 있다. 4
                                년차가 되었지만 아직 북한에 한 번도 방문하지 못했
 사회 	 이번 대담은 남북관계 및 통일운동 민간단체의  다(웃음). 평화3000은 올해 15주년을 맞았다. 민족의
청년실무자가 바라보는 한반도 그리고 남북 민간교류협력에  화해와 평화를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신부와 수도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먼저 각자 소개를 부탁드린다.  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다. 설립 초기 인도적 대북
                                지원사업으로 시작해 교류협력사업으로 확장해나가
                                고 있다. 또한 베트남, 필리핀, 라오스 등 지구촌을 돌
                                보고 나눔과 평화, 화해를 실천하자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설립부터 지금까지 남북관계의 부침
                                과 관계없이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인도지원을 이어왔
                                다는 것이 큰 자랑이다. 대표적 사업으로는 2007년 평
                                양시 체육단의 축구장 현대화 사업과 콩우유 공장, 두
                                부공장 지원 등을 꼽을 수 있다. 평화3000의 주요 모
                                토는 ‘평범한 사람들이 만드는 평화’다. 소속된 이들
                                모두 이 마음으로 일하고 있다.

이재선 	 천도교청년회 대외협력위원장을 맡고 있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다. 천도교청년회는 99년 전 3·1운동 당시 주도적인     지금 우리는 어떠한 세상에서 살고 있는가
역할을 했던 천도교에서 청년들이 민족문제의 중심
에 서야 된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어린이운     사회 	 여러 진로 중 NGO를 선택하게 된 동기가 궁금하
동, 신여성 운동, 조선농민운동 등 일제강점기 사회문   다. 또 남북관계나 통일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은 무엇이
화운동을 주도했다. 해방 후에도 민족문제에 대한 고    었는지 소개해 달라.
민을 이어갔고, 현재 통일과 평화문제를 중심으로 활
동하고 있다.                          신상선 	 어릴 때부터 북한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