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민족화해 103호(일반)
P. 9

2020 March + April Vol.103

진정한                                      2000년 6·15공동선언 이후 민화협을 비롯한 통일연
동맹입니다.                                 대, 온겨레손잡기운동본부(7대 종단) 등 우리 사회를 대
                                       표하는 통일 관련 연대기구들이 모여 ‘민족공동행사 추
역사적인 6·15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이한 올해,          진본부’를 구성하고, 6·15, 8·15 등 남북 공동의 기념일
하지만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는 녹록치 않다. 지난 해          을 계기로 민족공동의 통일행사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결렬 이후 한 걸음도 나아가지           성과들을 토대로 2004년 12월 북측을 시작으로, 2005
못하고 있는 북미 협상과 맞물려 남북관계 역시              년 1월 남측, 3월 해외측 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동
경색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더구나 올해 초 예상치            월 금강산에서 ‘6·15공동선언실천을 위한 남북해외공
못한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발병도 남북관계의             동행사 준비위원회’가 결성되기에 이른다.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미 대선과 우리의 국회의원
총선거가 있고, 아울러 북한의 당 창건 75주년을 맞는           이후 2005년 6·15민족공동행사(평양)와 8·15민족공
올해, 남북관계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2005년 결성        동행사(서울)를 성대하게 치른 뒤 12월 ‘6·15공동선언
이후 지금까지 한반도 평화와 민족의 화해를 위해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공동행사 준비위원회’는 ‘6·15공
끊임없이 노력해 온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이하         동선언실천 민족공동위원회’로 개칭하게 되고, 남측준
6·15남측위원회) 이창복 상임대표의장을 만나 이야기를         비위원회 역시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로 바뀌
나누었다. 그는 “남북문제의 해결이 곧 동북아의             게 된다. 그 후 현재까지 북측위원회, 해외측위원회와
평화이며, 나아가 세계의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시금석이        함께 민족공동행사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남·북·해외 간
될 것”이라고 누차 강조했다. 인터뷰는 2월 12일 서울        접촉과 교류, 다양한 공동행사를 비롯해 남북공동선언
종로구 안국동 6·15남측위원회 사무실에서 진행되었다.         들이 실현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정리 정책홍보팀 김태우·염규현 사진 김도형 객원작가           6·15민족공동위원회는 남·북·해외 간 수평적으로 합
                                       의의 정신에 따라 운영되며, 각 위원회별 대표들이 참석
  6·15남측위원회는 그동안 남북이 합의한 공동선언          하는 민족공동위원회 회의, 각 위원회의 위원장이 참석
(6·15남북공동선언, 10·4선언, 4·27판문점선언, 9·19평  하는 공동위원장 회의, 집행부 간 실무회의를 통해 사
양공동선언)의 이행을 위해 민족공동행사와 각계각층            업과 활동들에 대해 협의, 집행하고 있다. 또한 6·15남
의 교류협력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민간통일운동을 조            측위원회의 9개 부분 본부와 6·15북측위원회의 9개 부
직하고 집행하는 상설조직이다. 또한 6·15공동선언실          문분과위원회는 서로 파트너십을 갖고 교류하고 있다.
천 북측위원회, 해외측위원회(미국, 일본, 대양주, 중남        6·15남측위 노동본부는 6·15북측위 노동분과위원회와,
미, 중국, 유럽, 캐나다, 독립국가연합 등)와 함께 민족       6·15남측위 여성본부는 6·15북측위 여성분과위원회와
공동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남·북·해외 각계가 광범          교류하는 형식이다.
위하게 망라된 유일한 3자 연대 민간통일운동기구이기
도 하다.                                           남·북·해외 각계가 폭넓게 망라된
                                              유일한 3자 연대 민간통일운동기구

                                          올해는 6·15남북공동선언 20주년이 되는 해입니
                                       다. 6·15남측위원회도 15주년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07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