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민족화해 105호 2020 07+08
P. 14

기획 1. 평화와 공존을 위한 한반도 뉴딜

                    1

                                        평화와 공존을 위한
                                             한반도 뉴딜

                  현명한
              강온전략으로
              남북관계 변화
            주도권 되찾아야

                                                           정대진 아주대학교 통일연구소 교수

          엎친 데 덮친 격. 2020년 남북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말이다. 먼저 엎친 데. 이건 2019년부터 시
       작됐다. 그해 2월 말 하노이 노딜로 북미관계는 물론 남북관계도 엎어지기 시작했다. 김정은 위원장
       이 직접 우리 대통령을 향해 오지랖 넓은 중재자 행세하지 말라고까지 했다. 작년 6월 말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들의 만남이 있었지만 북미 정상의 회동이 주(主)였지 남북정상들의 회동은 인사나 하
       는 수준이었다. 그나마 안 하는 것보다는 백배 나은 것이지만 작년 남북관계는 엎어진 상태에서 일
       어나지 못했다.

          다음은 덮친 격. 코로나19는 한반도 역시 피해 가지 않았다. 발원지인 중국 대륙 바로 옆에서 이
       정도면 방역에 선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남북관계는 코로나에 걸린 듯 휘청거렸다. 2020년 자
       력부강과 정면돌파전의 기치를 내걸고 경제발전5개년계획의 마지막 해 조금이나마 승부를 내려고
       했던 북한은 국경을 폐쇄하고 기약 없는 봉쇄에 들어갔다. 남북관계 진전은커녕 내부상황 관리에도
       여력이 부족한 상태에 빠졌다.

          에드윈 살바도르 WHO 평양사무소장에 따르면 북한은 총 2만 5천여 명 이상을 의학적 감시대상
       자로 분류해 격리조치 했다고 한다. 코로나 확진자는 없다고 하지만 보건의료 체계가 취약한 북한은
       코로나19 감염병에 공격적인 봉쇄조치로 일관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자가격리 조치를 어긴 북한
       무역일군이 공개처형당할 정도로 북한 당국은 예민하고 심각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2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