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민족화해 105호 2020 07+08
P. 40

청년 칼럼

   뉴노멀                           혼란으로 몰아넣었고, 우리의 가정에서부터 일터, 사
   평화통일                          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
   운동을                           히, ‘코로나19 이전의 세상은 이제 다시 오지 않는다’,
   기대하며                          ‘코로나로 의료, 교육, 정치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우
                                 리의 생각을 바꿀 것이다’라는 새로운 사회의 시작 곧
                        ‌       ‘뉴노멀’에 접어들며 기존의 통일에 대한 접근법과 평
                                 화통일 운동의 변화 역시 남북의 숙제로 다가왔다.
             차대헌
             ‌민 화협 1020통일공감기자단    앞서 언급했던 4·19혁명 당시 시민혁명에 앞장섰던
             전남대학교 바이오에너지공학 4년   학생들과 청년들의 구호는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였다. 6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어
  2020년은 여러 가지로 의미가 깊은 해이다. 독재   떠한 모습의 통일 운동을 지향해야 하는가. 당시의 청
정권을 민중의 힘으로 몰아낸 4·19혁명 60주년이자,   년과 학생들은 거리로 나와 남북통일을 외쳤으나, 지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이며, 남북의 정상이 손    금의 젊은이들은 통일에 무관심하다 못해 부정적인 것
을 맞잡고 평화를 노래했던 6·15남북공동선언 20주    이 현실이다. 이러한 청년들에게 막연히 통일운동의
년이다. 올해가 그 어느 해보다 대한민국 국민의 민주    동참을 바라고, 긍정적 통일관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
정신이 빛을 발할 원년이라는 생각이 든다.          가 있다.

  한편 올해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감염증이 전 세계를      기존의 남북교류와 통일운동은 쉽게 말해 아날로그
                                 에 가까운 활동이었다. 남과 북은 소수의 책임자들이
                                 정책을 주도했고, 국민 대다수에 통일공감대를 확산
                                 시키기 위한 노력도 부족했다. 바쁜 일상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통일운동을 위해 시간을 할애받기는 어
                                 려웠던 것이다.

                                   더 이상 뜨거운 가슴만으로 부르짖는 통일운동은
                                 청년들을 움직이게 하기 어렵다. 그러나 멈출 수는 없
                                 으며, 멈추어서도 안 되는 것이 평화통일, 하나 된 남
                                 북이다.

                                   그렇다면 이를 이어나갈 이 시대의 주역들 20~30
                                 대 청년들에게 무엇으로 이 숙제를 전할 것인가. 이들
                                 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 시대에 맞는, 공감할 수 있는
                                 통일 콘텐츠가 필요하다. 오히려 코로나19로 ‘뉴노멀,
                                 언택트’ 사회에 들어선 지금이 통일운동에 긍정적인
                                 변화의 바람을 일으킬 때라 생각한다.

                                   이들에게는 PC와 스마트폰을 도구로 하는 SNS사
                                 회가 익숙하며 대다수가 사용에 능숙하다. 이미 ‘비대

38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