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민족화해 94호
P. 33
민족화해 2018 09+10 31
개소 예정인 개성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 기대가 크다. 름대로 생각의 배경과 이유, 근거가 있다. 그들의 생
반면 정부 출범 이후 정부 일방 주도의 남북관계를 우려하 각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젊은 세대는 장
는 시각도 있다. 때문에 공동연락사무소에 민간 참여를 주 점이 있다. 이성적이고 논리적이다. 또 잘못 생각한
장하는 목소리가 있다. 것은 고친다. 그렇다면 남북관계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의 공유가 중요하다. 젊은 세대는 기존 대중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특징 중 하나가 분권형 매체에서 즉자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하는 경향
대북정책이다. 문 대통령은 여러 차례 남북관계를 중 이 많다. 때문에 조금 더 남북관계를 길고 넓게 볼 수
앙정부가 독점하던 시대는 지났고, 지자체와 민간의 있는, 우리가 지금까지 걸어왔던 길에 대한 이해가 중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혀왔다. 지금은 대체로 우리 요하다. 서로 소통하면서 생각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정부의 입장이라기보다, 북한도 정상회담을 먼저 준 마련되어야 한다. 통일교육도 일방적 방식이 아닌 쌍
비하고 그 이후 본격적으로 민간교류를 시작하겠다 방향 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젊은 세대의
는 것과 연결되어 있는 것 같다. 아마 이번 정상회담 통일문제 인식에서 왜곡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후 민간교류가 더욱 확대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젊은 세대는 통일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통일에 대
것 같다. 민간교류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필요하다면 법 한 생각이 다른 것이다. 젊은 세대가 생각하는 통일의
령 개선도 필요하고, 우리가 많이 논의해 왔던 민관협 개념과 우리가 지금까지 당위론적으로 생각해온 개
력 거버넌스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이 념이 다른 것이다. 통일의 개념을 조금 더 확장할 필
과정에서 지자체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경험도 요가 있고, 젊은 세대가 생각하는 통일의 개념까지 아
있고 협력기금, 조례도 있기 때문에 지방 정부의 남북 우를 수 있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교류협력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민간교류도 같이
발전할 수밖에 없다. 지방정부의 교류가 대체로 사회 학자로, 저술가로 때로는 활동가로 적지 않은 역할을 해
문화 분야나 인도적 지원 등과 관련되어 있다. 지방정 왔다. 지금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있어 중요한 역할
부의 역할을 강화하면서 민간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 을 맡고 있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이라는 화두를 지금껏 안
는 제도적 장치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등은 조금만 고 왔다.
기다려 주시면 될 것 같다.”
“결국 합의를 어떻게 넓혀갈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젊은 세대의 통일 개념까지 본다. 지속가능한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에서 중요한
아우를 수 있는 사회적 노력 필요해 것은 결국 합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100% 합의가
가능하겠나. 그럼에도 다수의 합의를 어떻게 넓혀갈
통일교육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과거와 것인지, 고민과 노력이 중요하다. 그래야 지속성을 가
는 다른 통일관, 대북인식을 가지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질 수 있다. 지속성이 있어야 약속에 대한 신뢰를 상
필요한 통일교육은 무엇일까. 대에게 줄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그 부분이 굉장히
취약했다. 어떻게 그 부분을 개선할 것인가가 결국 중
“미래 세대가 어떤 인식을 하느냐는 매우 중요하 요한 과제다.”
다. 일단 젊은 세대의 생각을 충분히 들어야 한다. 나
민족화해 vol94 0910.indd 31 2018-09-10 오전 11: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