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민족화해 94호
P. 63
민족화해 2018 09+10 61
두 번째로 통일국가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대 은 “국가는 기본적으로 민족을 토대로 한다. 미국과
단한 나라가 될 것임을 알리면서 통일 논의의 차원을 같은 다민족 국가도 있지만 한국 주변국들이 민족주
한 단계 높이기 위함이다.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우 의적인 성격이 강함을 잊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우리
리는 분단에 익숙해진 만큼 통일에 대한 논의도 분단 가 민족이라는 구심력을 버리면 어떤 결과가 초래될
에만 머물러 있을 뿐 진전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것인지 고민해야 하고, 또 민족의 개념을 혈통에 한정
“통일 논의는 통일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넘는 즉, 통일 하지 않아야 한다. 한국 땅에 살고 한국말을 쓰고 있
이 된 이후를 상상해야 한다”고 했다. 또 이 시점에서 다면 결국 한민족이다”라고 답했다.
청년들이 통일국가는 무엇을 지향할 것인지 고민해
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들,
통일의 굳건한 의지와 민족정체성 갖춰야
통일국가와 청년의 희망
통일이 한반도 문제해결의 입구인지 출구인지를
다음으로 권은민 변호사와의 대담과 참석자들의 궁금해 하는 참석자도 있었다. 즉 통일이 한반도 문제
질문 시간을 가졌다. 통일국가에 대한 우려가 담긴 질 의 해결책이 될지, 아니면 그 문제가 먼저 해결돼야
문도 있었다. ‘통일이 되면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들 통일이 되는 지에 대해서다. 이에 김 전 차관은 “어느
간의 빈부격차가 심해지지 않을까?, 남한의 재력가들 과정을 거치다 보면 반드시 통일이라는 과정이 있을
이 북한 땅에 무분별한 투기를 하지 않을까’ 등의 질 것이고 그때까지 해결된 일은 해결된 대로, 해결이 안
문에 김 전 차관은 “양극화를 막는 것은 국가의 역할 되면 해결이 안 된 그 상태로 통일국가는 모든 것을
중 하나고 북한사람들의 주택과 농지는 그들이 갖도 끌어안아야 한다. 통일국가는 그 모든 문제들을 해결
록 해서 재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 해가면서 통일국가가 지향하는 목표들을 추구한다”
했다. 하지만 “농지와 택지 이외의 땅은 국유화로 그 며 문제는 항상 존재하며 통일은 과정임을 강조했다.
대로 두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남한에서 빈부격차가 마지막 질문은 청년들에게 의미심장하게 다가올 물
커진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기 때문”이라고 음이었다. 청년들이 통일의 주체로서 어떤 역할을 할
말했다. 수 있을지에 대해 김 전 차관은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한편 청년층 내에 ‘공동체의 파편화’가 만연해 있는 답했다. 첫 번째는 ‘통일을 해야 한다는 굳건한 의지’
데 통일국가가 되면 남북이 함께 나아갈 수 있을지 의 이고 두 번째는 ‘민족정체성’이다. 그것은 남한과 북
문이 든다는 학생도 있었다. 이에 김 전 차관은 “국가 한이 같은 민족이라는 동족의식을 말한다.
는 사회의 제 가치를 실현해야 하는데 ‘나만 편하면 이날 행사는 공교롭게도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65
됐지’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회를 봉합 년이 되는 날에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분단가 통일
하는 것도 그 일부”라고 답했다. 의 의미를 되새기고 평화통일을 꿈꾸는 청년들이 통
통일해야 하는 이유를 어디서 찾을 지에 대한 질문 일국가를 두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는 평
도 흥미로웠다. “우리는 현재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 가를 했다. 각자가 꿈꾸는 한반도의 미래가 다르겠지
에 살고 있는데 민족을 내세워 통일을 주장하는 것이 만 서로 통일국가의 모습을 공유하는 청년들의 열정
과연 설득력이 있을까”라는 질문이었다. 김 전 차관 으로 행사는 성황리에 마쳤다.
민족화해 vol94 0910.indd 61 2018-09-10 오전 11: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