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민족화해 94호
P. 20

18                                      특 집 ③





                                                         3
                                                       판문점
                                                      선언 이후
                                                       한반도



                                           평화의 징검다리,


                                   개성남북공동연락사무소










                                                 고유환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4·27 판문점선언에서 “남과 북은 당국 간 협의를               련하게 될 것이다. 그동안 운영해왔던 남북연락사무
                긴밀히 하고 민간교류와 협력을 원만히 보장하기 위                  소는 판문점에 있다. 남측은 평화의 집에, 북측은 통
                하여 쌍방 당국자가 상주하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일각에 각각 사무소를 두고 서로 직통전화나 직접접
                개성지역에 설치하기로 하였다”고 합의했다. 그동안                  촉 등을 통해 연락을 주고받았다.

                남북사이의 접촉과 연락사무는 1970년대 설치했던                   남북관계 정세 변화에 따라 연락사무소 기능도 크
                남북적십자연락사무소와 1992년 2월에 발효한 남북                 게 영향을 받아왔다. 1996년 북한 잠수정의 강릉침투
                기본합의서에 따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 설치                   사건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경색되자 북한이 일방적
                된 남북연락사무소가 수행해 왔다.                           으로 연락사무소를 폐쇄하여 적십자연락사무소가 연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상                   락 업무를 대신한 적도 있었다. 1998년 남측은 신축
                호대표부로 나아가기 위한 전단계로, 남북이 같은 공                 된 ‘자유의 집’으로 연락사무소를 옮겼고, 2000년 8
                간에서 공동연락사무소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월 14일 남북연락사무소를 복원하면서 북측도 연락
                찾을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밝힌              사무소를 ‘판문각’으로 옮겨 운영해 왔다.
                데로 앞으로 상호대표부로 발전하게 될 남북공동연                    2008년  7월  11일  금강산관광객  피격사건,  2010

                락사무소가 설치되면 남북이 24시간 365일 소통하                 년 천안함 폭침사건과 ‘5·24조치’ 등 남북관계의 긴
                는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다.                            장이 높아질 때마다 북측이 판문점 연락채널을 닫아
                  남북 최고지도자 사이의 직통전화(핫라인)를 설치                 버려 남북 판문점 연락관 사이에 전화통화가 되지 않
                한데  이어  개성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개설되면                는 등 남북연락사무소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가
                남북관계 발전을 제도화할 수 있는 획기적 전기를 마                 많았다.












          민족화해 vol94 0910.indd   18                                                                 2018-09-10   오전 11:18:49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